1)Vital signs의 중요성
* Vital organ(심장, 폐) 의 상태를 보여줌
1) 체온 측정
2) 맥박수 측정
3) 호흡수 측정
4) 혈압 재기
5) 고통의 중증도 관찰과 측정
* v/s의 변화에 대한 관찰과 보고
2) Normal ranges for adults v/s
(1)Temperature(체온)
Fahrenheit(화씨) | Celsius(섭씨) | |
Oral(입) | 97.6 – 99.6 | 36.5 – 37.5 |
Rectal(항문) | 98.6 – 100.6 | 37.0 – 38.1 |
Axillary(겨드랑이) | 96.6 – 98.6 | – 37.0 |
(2)Pulse(맥박)
60~100 beats per minute
(3)Respirations (호흡)
12~20 respirations per minute
(4)Blood Pressure(혈압)mmHg
Normal | Systolic 100 – 119 Diastolic 60 – 79 |
Prehypertension (초기 고혈압) | Systolic 120 – 139 Diastolic 80 – 89 |
High (고혈압) | 140/90 or above |
* Prehypertension(초기 고혈압)의 의미
고혈압은 아니지만 높아질 수 있는 경우가 있다고 보고 매우 기준을 엄격히 정하여 고혈압을 예방하려는 차원의 의미(from joint national committee)
3) 체온
피부는 혈관으로부터 열을 방출하거나 땀을 증발시켜서 체온을 조절하는데 질병이나 손상 등에 의해서 변하는 기전이 다르므로 이를 재어보는 것이다.
(1)재는 부위-구강체온(mouth), 액와체온(armpit), 직장체온(rectum) 고막체온(ear) | |
체온은 호르몬 변화나 배란이나 생리주기에 따라서도 변한다.
흔히 감염이나 약(항생제 항히스타민제)등에 의해서 또는 심한 외상,
화상, 여러 질병에 의해서도 열이 날 수 있다.
1)Oral (입)-구강내 혀 아래 부분에 위치 2-3분 측정. 37.8℃(100℉)이상시 발열
2) Rectal(항문)-직장 약2.5-3센치미터내에 삽입. 2분정도 측정. 38.3℃(101℉)도
이상시 발열. 가장 정확하나 천공 조심. 어린이인 경우는 38℃
(100.4℉) 이상 일 시 발열
3) Axillary(겨드랑이)-땀을 잘 닦은 후 팔과 겨드랑이 안에 위치 4-5분이상.
37.2℃ 이상일시. The least accurate.
4) Tympanic(고막)-외이도에 삽입.
귀지가 귀를 막고 있을 경우 잘 재지지 않을 수 있다.
체온계가 찰 경우 잘 재지지 않는다.
체온은 귀, 항문> 구강>겨드랑이 순으로 조금씩 차이가 난다.
(2) Oral 체온계를 쓰면 안 되는 경우
1) 무의식
2) 산소 사용 중인 경우
3) 혼돈의 증상
4) 중풍 등으로 마비
5) 얼굴의 외상
6) 6세 이하
(3) 체온계의 종류
Mercury(수은) T. : toxic substance (많은 주가 법으로 금지하기도 한다)
수은 체온계는 깨졌을 경우 시간이 지나 신경계통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
에 손으로 만지지 말고 반드시 장갑을 끼고 뻣뻣한 종이를 조심해서 버려야하며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면 수은 증기를 온 방에 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해서는
안된다.
Mercury- free T. :
(4) 체온 재는 방법
* 수은 유리 체온계 읽기
(5) 요즘의 체온계
Electronic Thermometer.
Tympanic T.
4)Respirations(호흡)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가스교환을 통하여 생물들이 유기물을 분해하여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작용을 말한다. 호흡의 주된 목적은 산소를 얻기 위함이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우리 몸에서 빨리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격렬한 운동이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호흡이 빨라지는데 왜 그럴까? 이는 호흡의 조절중추인 연수가 자극을 받아 교감신경이 촉진되어 숨을 할딱할딱 쉬는 호흡항진이 일어나서 호흡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신속하게 이산화탄소를 혈액내에서 제거하려는 목적이 있다.
Inspiration
Expiration
중추 : 연수(숨뇌, medulla oblongata), 혈액 중 CO2 농도가 폐의 팽창 정도에 예민
하게 반응하여 자동 조절한다.뇌줄기의 가장 하부에 척수와 연결되어 위치
하며, 숨뇌는 말 그대로 호흡, 순환 등 생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율신경 기능이 집약되어 있는 부위이다. 그리고 척수와 연결되어 운
동, 감각의 중요한 통로가 되기도 하고 기침하고 삼키며 목소리를 내는 뇌신
경들이 위치해 그와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뇌의 구분
* 기침 : 신체의 청결 기관, 섬모 이용
* 수분의 섭취 : 배설물의 농도 묽게 한다.
5) 혈압(Blood pressure)
혈관의 이름에 따라 동맥혈압, 모세관혈압, 정맥혈압 등으로 구별되는데, 보통 혈압 이라고 하면 동맥혈압을 뜻할 때가 많다. 동맥혈압은 심장박동에 의하여 변동한다.
Systolic(수축기 혈압)-심장이 수축하여 혈액이 동맥 속으로 밀려나갔을 때 혈관에
가해지는 압력
Diastolic(확장기 혈압)-심장이 확장하면서 혈액을 받아들일 때 혈관이 받는 압력.
수축기혈압과 확장기혈압과의 차이를 맥압(脈壓)이라고 한다.
심장으로부터 밀려나가는 혈액량이 증가하거나 동맥혈관의
탄성이 낮아지면 맥압이 증가한다.
hypertension-고혈압은 18세 이상의 성인에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확장기 혈압이 90mmHg이상이 계속되는 경우를 말한다.
aging, exercise, physical or emotional stress, pain,
medications에따라 변한다.
(혈압 재기)
*혈압은 여러 요인에 의해 변동이 되기 쉽기에 10-15분쯤 심신을 안정상태에 둔
후 재며 식후 1시간 지난 후, 또 배변이나 배뇨를 참아도 혈압이 상승되는 경우
가 많기 때문에 배변 배뇨 후 5분쯤 지난후 측정해야 합니다.
*유방 수술한 환자인 경우는 수술한 쪽 팔로 혈압을 재는 것은 피해야 한다.
6)Pain (통증)
1.통증 사정 방법
(1) 통증유발요인 – 통증을 일으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악화 및 완화요인은 무엇인가?
통증이 발생될 당시 환자의 활동은 어떤 것이었는가?
(2) 통증의 질 – 통증이 어떻게 느껴지는가?
둔한, 예리한, 조이는 듯한, 찢어지는 듯한 등의 단어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3) 방사- 통증이 어느 방향으로 방사하는가?
국한된 통증인가 아니면 통증이 이동하는가
(4) 중등도(심한 정도) – 통증이 얼마나 심한가? 설명해보게 한다.(통증사정도구)
(5) 시간 – 통증이 시작한 시간, 지속된 시간, 지속적인지 간헐적인지? 등을 파악한다.
이전에 유사한 통증이 발생한 일이 있었는지. 언제인지를 확인한다.
* 통증 감소를 도와 주는 방법
(1) 체위 편안하게 유지시키고 혹은 환자가 원하는 자세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2) Warm bath or shower
(3) Slow deep breathes (숨을 힘들게 쉬면)
(4) 조용한 환경
(5) 약
(6) 부드럽고 이해하는 마음으로 돌보기
7) Pulse (맥박)
우리의 심장은 수축과 확장을 반복하면서 혈액을 전신에 공급하게 되며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내보낼 때 파동이 전신의 혈관으로 전달되는데 이것이 맥박입니다.
맥박측정법-정상 맥박수에 대해서 알아보면 맥박은 1분간 횟수가 기준이며 30초간
횟수 곱하기 2정도로 측정하면 됩니다. 노인의 경우 정상 맥박수가 적
고 유아는 정상 맥박수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정상맥박수-성인 60-100/분(10세이상 어린이, 성인, 노인 포함)
* 밑의 그림은 신체의 맥박을 찾을 수 있는 곳